전체 글 31

#2. 알러지성 비염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의 종류와 용법, 부작용 정리(지르텍, 클라리틴, 알레그라..)

2022.05.19 - [일반약/코감기, 비염, 알러지] -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비염의 정의와 분류 약국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는 바로 비염입니다. 비염의 정의는 코 내부의 지속적인 염증과 자극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여 콧물, 코막힘, 재채기 및 가 drugstudy-gongyak.tistory.com 콧물, 가려움, 재채기 등 알레르기성 비염의 대표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매개체는 바로 히스타민(Histamine)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표 증상들을 조절할 목적으로 히스타민의 작용을 방해하는 항히스타민제 약물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비염의 정의와 분류 약국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는 바로 비염입니다. 비염의 정의는 코 내부의 지속적인 염증과 자극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여 콧물, 코막힘, 재채기 및 가려움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비염은 급성 비염과 만성 비염으로 분류되는데 코감기는 급성비염에 속하고 알레르기성 비염은 만성 비염에 속합니다. 따라서 콧물 코막힘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알레르기성 비염인 것은 아닙니다. 1) 급성 비염(코감기, 감염성 비염) : 코감기는 주로 Rhinovirus, Corona virus, Adenovirus 등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낮은 온도나 습도, 스트레스 혹은 영양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맑은콧물, 코막힘과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

직접적으로 위산을 중화시켜 속쓰림을 완화하는 약 - 제산제(알마겔, 노루모, 겔포스...)

소화성궤양이나 위식도 역류질환 등 위산이 원인인 질병의 치료는 앞서 소개해드린 PPI(양성자펌프 억제제)나 H2RA(히스타민수용체2 억제제) 등 위산분비 억제제가 1차이며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즉각적인 속쓰림 증상 완화효과는 적은 편이기 때문에 보통 급성 증상의 빠른 완화를 위해 제산제를 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제산제의 종류와 속쓰림 증상완화 작용기전, 주의사항 등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속쓰림에 쓰이는 주요 약제인 PPI와 H2RA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 글을 먼저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05.01 - [전문약/위장약] -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에소메졸, 덱실란트..

전문약/위장약 2022.05.11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두번째 -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H2RA (시메티딘, 가스터, 스토가...)

오늘 소개해드릴 약은 위산분비 억제제로 위염, 위궤양, 위식도역류질환과 기능성 소화불량에 사용되는 히스타민수용제2 길항제(H2RA)입니다. 위 질환들에 대해 1차 약물로 쓰이는 PPI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나 단기간의 증상완화에 주로 쓰이는 계열의 약물입니다. PPI에 대한 정보는 이전 포스팅을 참조 바랍니다. 2022.05.01 - [전문약/위장약] -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에소메졸, 덱실란트, 파리에트..)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PPI(Proton pump Inhibitor)계열 약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위장약으로 소화성궤양이나 식도염, 위식도..

전문약/위장약 2022.05.07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에소메졸, 덱실란트, 파리에트..)

PPI(Proton pump Inhibitor)계열 약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위장약으로 소화성궤양이나 식도염, 위식도역류질환(GERD)*, Zollinger-Ellison syndrome 등 위산관련질환에서 1차로 사용될 뿐 아니라 헬리코박터(H.pyrori) 제균요법,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또는 항혈소판제 복용 환자에게서 소화성 궤양 부작용이나 위장관 상부출혈을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약물 계열입니다. *GERD(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위산이나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안쪽으로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을 일으키는 질환 (서울대병원) GERD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가슴통증과 산역류증상이 있는데 주로 가슴이 타..

전문약/위장약 2022.05.01

고덱스 캡슐의 구성성분, 효과 및 주의사항 정리

오늘 소개해드릴 약은 2002년 셀트리온에서 출시된 간장약인 고덱스 캡슐입니다. 대표적인 간장약으로 여겨지는 우루사와는 다른 성분들로 구성되어있는데 2017년까지 간장약 매출 1위였던 우루사를 제치고 연간 처방액수가 500억원을 훌쩍 넘는 간장약 처방액 1위로 자리잡았습니다. 오늘은 고덱스 캡슐의 구성성분과 각 성분의 효능, 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외형 고덱스 캡슐은 갈색의 장방형 경질캡슐로 외부에 GODEX라는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성분명 - 비페닐디메틸디카르복실레이트 25mg - 오로트산카르니틴 150mg - 항독성 간장엑스 12.5mg - 아데닌염산염 25mg - 피리독신염산염(Vit B6) 25mg - 리보플라빈(Vit B2) 500μg - 시아노코발라민(Vit B12) 125..

전문약/간장약 2022.04.27

#4. 요산배출을 증가시켜 요산수치를 낮추는 통풍약 - 프로베네시드/벤즈브로마론/설핀피라존 (유리논, 알카리신)

통풍약과 통풍 치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글을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04.03 - [전문약/통풍] -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통풍(Gout)은 바람만 불어도 아플 정도의 증상이라고 하여 통풍이라고 합니다. 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성분이 인체 내에서 대사되면 요산(Uric acid)이라는 대사산물이 생깁니다. drugstudy-gongyak.tistory.com 2022.04.08 - [전문약/통풍] - #2. 급성기 통풍발작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부작용 정리(콜히친, NSAIDs, 스테로이드) #2. 급성기 통풍발작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

전문약/통풍 2022.04.26

#3. 요산생성을 억제하여 요산수치를 낮추는 통풍약 - 알로퓨리놀/페북소스타트 (자이로릭, 페브릭)

통풍약과 통풍 치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글을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04.03 - [전문약/통풍] -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통풍(Gout)은 바람만 불어도 아플 정도의 증상이라고 하여 통풍이라고 합니다. 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성분이 인체 내에서 대사되면 요산(Uric acid)이라는 대사산물이 생깁니다. drugstudy-gongyak.tistory.com 2022.04.08 - [전문약/통풍] - #2. 급성기 통풍발작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부작용 정리(콜히친, NSAIDs, 스테로이드) #2. 급성기 통풍발작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

전문약/통풍 2022.04.22

#2. 급성기 통풍발작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부작용 정리(콜히친, NSAIDs, 스테로이드)

통풍약과 통풍 치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글을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04.03 - [전문약/통풍] -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급성 통풍성 관절염이 발생하면 우선 염증과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한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항염증 약제로는 콜히친(Colchicine), 소염진통제(NSAIDs), 스테로이드가 있습니다. 통풍발작이 생기면 가능한 빠른시간에, 적어도 24시간 이내에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주의하실 점은 이 시기에 요산수치를 급격하게 바꾸는 약(요산생성억제제/요산배출촉진제/이뇨제) 등을 추가하거나 변경하여 복용하면 이미 진행되고 있던 염증반응이 요산수치 변화로 인해 오히려 더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

전문약/통풍 2022.04.08

#1. 고요산혈증/통풍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통풍 약의 종류

통풍(Gout)은 바람만 불어도 아플 정도의 증상이라고 하여 통풍이라고 합니다. 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성분이 인체 내에서 대사되면 요산(Uric acid)이라는 대사산물이 생깁니다. 요산의 혈중 수치가 높아지면서(고요산혈증) 혈액, 체액, 관절액 내에서 요산염을 형성하면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을 유발하고 극심한 통증(통풍발작)과 관절염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상태가 심화되면 요산염 결정에 의해 통풍결절(tophus)이 생기는데 이는 관절의 변형, 불구를 야기합니다. 식량이 충분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고 비만해진 왕에게 흔히 발생된다 하여 통풍이 황제병이라는 별명까지 있었지만 잉여칼로리가 많은 현대사회에 와서는 젊은 환자들에..

전문약/통풍 202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