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피디아 5

#6.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당뇨약 - TZD(Thiazolidinedione)

TZD(Thiazolidinedione)에 해당하는 성분은 당뇨약 계열 중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에 속하는 약제인데요, 여기에 속하는 당뇨약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그중에서도 실제 임상적으로 가장 인슐린 감수성을 가장 잘 개선시키는 약제가 바로 TZD계열 당뇨약입니다. 80~90년대부터 사용된 약으로서 개발된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그에 비해 메트포르민이나 SU계, DPP-4 저해제 등 다른 약제들만큼 많이 사용되는 편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TZD계열 약물만의 고유한 장점이 있어 현재도 임상에서 꾸준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TZD 약제의 종류 현재 국내 시판중인 TZD계열 성분은 Pioglitazone(액토스), Lobeglitazone(듀비에)으로 ~glitazone으로 끝나는 두가지 성분이 있습니다. 두 ..

전문약/당뇨 2022.01.20

#5. 부작용이 없는 신약 경구용 혈당강하제 DPP-4 억제제(2)

이번 포스팅에는 DPP4 억제제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이전 1편을 안보신 분들은 보고 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2.01.07 - [전문약/당뇨] - #4. 부작용이 없는 신약 경구용 혈당강하제 DPP-4 억제제(1) 식후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혈당을 강하시키는 인크레틴 호르몬은 DPP-4(Dipeptidyl peptidase-4)라는 효소에 의해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체내에서 분해되어 불활성화됩니다. 따라서 DPP-4 효소를 억제하여 인크레틴의 혈중농도를 높여 인슐린분비를 증가시키면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낼수 있을 것이란 아이디어로부터 DPP4 억제제가 개발되었습니다. DPP-4 억제제의 종류 DPP-4 억제제는 Sitagliptin(자누비아/자누메트 등)이 처음 상용화 되었고, 이외에 Vi..

전문약/당뇨 2022.01.19

#3. 인슐린 분비를 직접 자극하는 당뇨약 -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 계열 과 Meglitinide계 약물의 작용기전, 복용법과 주의사항

설포닐유레아 계열의 당뇨약은 메트포르민 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1940년대부터 사용되어왔고 여전히 많이 사용되는 약제입니다. 설포닐유레아 계열의 약이 처음부터 당뇨병 치료제로서 개발된 것은 아니고 항생제로서 승인을 받기 위해 임상연구를 진행하던 중 참여자들에게서 예기치 못한 심한 저혈당이 발생되는 일이 발생되어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적응증을 변경하여 개발된 경우라고 합니다. 약의 개발과정을 찾아보면 이처럼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역이용하여 훌륭한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이 굉장히 많습니다. 고혈압 치료제로 연구되던 비아그라나 미녹시딜도 이런 방식으로 탄생되었습니다. Sulfonylurea 계열 약물의 종류 설포닐유레아 계열의 약은 대표적으로 글리메피리드(아마릴 등), 글리벤클라마이드(다오닐 ..

전문약/당뇨 2022.01.04

#2. 당뇨의 1차선택약제 - 메트포르민의 작용기전과 복용법, 주의사항

2021 대한 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 따르면 메트포르민은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2형 당뇨 환자들에게 가장 우선 사용되며 금기나 부작용이 없는 경우에는 복용을 유지하도록 하는 1차 선택 약제입니다. 가끔 메트포르민 약제를 복용 중인 분들이라도 메트포르민이라는 말이 낯선 분들이 계신데 이는 일반적으로 약을 제품명으로 접하기 때문입니다. 위에 나열한 제품들이 모두 국내 유통 중인 메트포르민염산염 500mg 제품들입니다. 즉, 모두 동일한 효능,효과를 지닌 동일한 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혹시 위 약들의 이름 중에 복용 중이신 제품이 있으시다면 이미 메트포르민 단일제제를 복용하고 계신 것입니다. 위에 나열된 품목에 없더라도 알약이 유달리 큰 당뇨약을 드시고 계신다면 메트포르민이 함유된 복합제제를 드시고 ..

전문약/당뇨 2021.12.29

#1. 당뇨약 종류와 당뇨의 진단기준

당뇨란 무엇인가? 당분간 포스팅에서는 다양한 당뇨약에 대해 함께 알아볼 예정입니다. 본격적으로 당뇨약에 대해 포스팅하기 전에 우선 당뇨가 무엇인지부터 간략하게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는 좋은 주치의 선생님을 만나 제대로 약을 복용하여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평생에 걸쳐서 오랜기간 관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 약을 복용하는 본인 스스로 당뇨병과 당뇨약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정확한 내용을 알고 있어야 제대로 된 관리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당뇨라는 병명 때문에 단순히 소변에서 당이 나오면 당뇨병이다~라고 오해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엄밀히 말해서 이것은 당뇨병의 정확한 정의는 아닙니다. 당뇨병이란 세포에서 포도당이 잘 이용되지 못하여 혈액속의 포도당 농도(혈당)가 올라가는 질환이라고 ..

전문약/당뇨 20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