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성궤양이나 위식도 역류질환 등 위산이 원인인 질병의 치료는 앞서 소개해드린 PPI(양성자펌프 억제제)나 H2RA(히스타민수용체2 억제제) 등 위산분비 억제제가 1차이며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즉각적인 속쓰림 증상 완화효과는 적은 편이기 때문에 보통 급성 증상의 빠른 완화를 위해 제산제를 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제산제의 종류와 속쓰림 증상완화 작용기전, 주의사항 등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속쓰림에 쓰이는 주요 약제인 PPI와 H2RA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 글을 먼저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05.01 - [전문약/위장약] -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에소메졸, 덱실란트, 파리에트..)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PPI(Proton pump Inhibitor)계열 약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위장약으로 소화성궤양이나 식도염, 위식도역류질환(GERD)*, Zollinger-Ellison syndrome 등 위산관련질환에서 1차로 사용될 뿐 아니라 헬리.
drugstudy-gongyak.tistory.com
2022.05.07 - [전문약/위장약] -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억제하는 약 두번째 -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H2RA (시메티딘, 가스터, 스토가...)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억제하는 약 두번째 -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H2RA (시메티딘, 가
오늘 소개해드릴 약은 위산분비 억제제로 위염, 위궤양, 위식도역류질환과 기능성 소화불량에 사용되는 히스타민수용제2 길항제(H2RA)입니다. 위 질환들에 대해 1차 약물로 쓰이는 PPI를 사용하기
drugstudy-gongyak.tistory.com
제산제의 종류와 용법
제산제로 쓰이는 성분은 주로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칼슘(Ca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등이 존재합니다.
1. 알루미늄, 마그네슘 제제
1) 알루미늄 단일제
- 암포젤정(수산화알루미늄 392mg) : 1일 300~600mg(1~2정)씩 3회 공복에 복용(식사 1시간전 or 식후 2시간)
2) 마그네슘 제제
- 마그밀정(수산화마그네슘 500mg) : 1일 1~2.5g(2~5정)을 수회 분할 경구투여
(마그밀정은 제산제로서도 사용되지만 주로 변비 완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마그밀은 수산화마그네슘 제제로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눈떨림이나 수면 등을 목적으로 마그네슘을 섭취하려면 산화마그네슘 제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3) 알루미늄 + 마그네슘 복합제
※ 알마게이트 :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혼합하여 결정구조로 만든 제산제 성분으로 열에 안정하며 중화력이 높고 중화속도 또한 빠른 성분입니다.
- 알마겔정(알마게이트 500mg) : 1회 1g(2정)을 1일 3~4회 식후 경구복용(씹어서 복용가능)
- 알마겔 현탁액(알마게이트 1g/15mL) : 1회 1g(1포)을 1일 3~4회 식후 경구복용
- 알마겔 에프현탁액(알마게이트 1.5g/15mL) : 1회 1.5g(1포)을 1일 3~4회 식후 경구복용
- 겔포스엠 현탁액(시메티콘 40mg, 인산알루미늄겔 12.38g, 수산화마그네슘 400mg) :1회 1포씩 1일 3~4회 식간에 복용
※ 12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은 고마그네슘혈증이나 알루미늄 독성 위험성이 우려되므로 주의
→ 6~12세의 경우 성인의 절반 용량으로 필요시에만 복용
2.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 제제
: 단일제는 거의 없고 복합제 형태로만 사용됨
- 개비스콘 현탁액(알긴산나트륨 5g/100mL, 탄산수소나트륨 2.13g/100mL, 탄산칼슘 3.25g/100mL)
→ 제산제 성분 이외에 위장점막 보호제(알긴산)가 포함된 복합제
- 애니탈삼중정(감초 25mg, 트리메부틴말레산염 50mg,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40mg, 스코폴리아엑스 5mg, 침강탄산칼슘 100mg, 탄산수소나트륨 50mg, 디아스타제·프로테아제·셀룰라제 20mg, 리파제 7.5mg) : 1회 2정씩 1일 3회 복용
→ 제산제 성분 이외에 위장운동조절제와 진경제(스코폴리아), 소화효소제가 포함된 복합제
- 카베진정(당약 5mg, 메틸메티오닌설포늄염화물 25mg, 스코폴리아엑스3배산 15mg, 침강탄산칼슘 200mg, 비오디아스타제2000 4mg, 리파제AP12 2.5mg, 탄산수소나트륨 116.6667mg, 탄산마그네슘 41.6667mg, 자소엽5mg)
→ 제산제 성분 이외에 위장운동조절제와 진경제, 소화효소제가 포함된 복합제
- 탄시나정(탄산수소나트륨 500mg, 침강탄산칼슘 10mg) : 1회 2정씩 1일 3회 경구복용
- 트리겔 현탁액(건조수산화알루미늄겔 58.2mg/mL, 수산화마그네슘 19.6mg/mL, 옥세타자인* 2mg/mL)
→ 제산제 성분 이외에 국소마취제 성분이 포함된 복합제
* 옥세타자인 : 위벽의 신경전달을 차단하는 효과를 통해 위산분비 억제효과와 국소마취효과로 인한 위통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 제품에 따라 복용량과 횟수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제산제 복용은 1일 3~4회 필요시 식간에 복용하며 복용간격은 4시간정도 두고 복용합니다.
제산제의 작용기전
: 제산제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등 알칼리성을 띄는 무기물로서 화학적으로 위산을 중화*시켜 위산과다나 위산역류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위장의 점막 손상을 방지합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PPI(프로톤펌프억제제)와 H2RA(히스타민2수용체 억제제)계열 약물과 함께 공격인자(위산) 억제제로 사용됩니다.
*중화반응 : 산(H+)과 염기(OH-)가 만나 물(H2O)을 형성하는 반응
탄산수소나트륨(NaHCO3)는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흡수성, 탄산칼슘이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은 체내 흡수가 적고 이자(췌장)에서 분비되는 중탄산이온(HCO3-)와 결합하여 배설되므로 비흡수성 제산제로 분류됩니다.
제산제의 장점
1. 신물이 올라오는 증상이나 속쓰림 증상을 가장 빠르게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PPI계열이나 H2RA계열 약물은 약효가 발현되기까지 수십분~수시간이 필요하지만 제산제의 경우 5분 이내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약국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쉽게 구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으며 가격도 저렴한 약물입니다.
제산제의 주의사항 및 단점
1. 알루미늄 제제
- 주로 변비를 유발
- 체내 축적시 신경독성이 드물게 발생
→ 뇌에 알루미늄의 축적과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므로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복용금기에 해당합니다. 또 신장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알루미늄 이온의 배설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축적되기 쉬우므로 중증의 신장애가 있는 경우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빈혈 유발
-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소염진통제(NSAIDs), 철분제의 경우 제산제가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2~3시간 간격을 두고 복용해야 합니다.
- 구연산(시트르산/비타민C)가 함유된 음식, 영양제와 같이 복용시 알루미늄의 흡수를 증가시키므로 같이 복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2. 마그네슘 제제
- 주로 설사를 유발
※ 알마게이트 성분의 제산제는 변비를 유발하는 알루미늄과 설사를 유발하는 마그네슘을 합한 성분으로 부작용을 상충시켜 개선한 약물입니다.
3. 탄산수소나트륨 + 탄산칼슘 제제
- 칼슘 포함 제산제 : 신장결석, 고칼슘혈증, 대사성 알칼리증 주의
- 탄산수소나트륨 : 위점막 자극과 복부팽반(탄산가스가 발생), 체내 수분의 저류(나트륨 축적으로 인한 부종)
- 탄산수소나트륨 제제는 임부 금기
→ 임산부와 태아에게서 대사성 알칼리증과 체액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4. 제산제는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질병의 원인 자체를 치료해주는 약물은 아닙니다.
→ 일반적으로 제산제는 복용 후 2~30분 이내에 효과가 소실되므로 소화성궤양이나 위식도역류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는 불가능합니다.
5. 제산제 투여로 인해 위암 등에 의한 증상이 은폐되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6. 간혹 음주 전후 알코올의 흡수를 막기 위해 겔포스 등의 제산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혀 효과는 없습니다.
→ 알코올은 위보다 소장에서 대부분 흡수되기 때문에 제산제 복용으로 흡수량의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다만 위점막 손상으로부터 약간의 보호효과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문약 > 위장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두번째 -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H2RA (시메티딘, 가스터, 스토가...) (0) | 2022.05.07 |
---|---|
위산분비를 억제하여 속쓰림을 완화하는 위장약 - 양성자펌프억제제 PPI계 약물(넥시움, 란스톤, 에소메졸, 덱실란트, 파리에트..) (2) | 202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