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3

#3. 스타틴 이외의 콜레스테롤 지질강하제 종류와 작용기전, 부작용 정리(에제티미브, 담즙산 흡착제, PSCK9 inhibitor)

이상지질혈증을 조절하는 1차 약제는 스타틴입니다. 만약 스타틴을 투여했음에도 LDL수치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우선적으로 권고하는 방법은 스타틴과 함께 Ezetimibe(에제티미브)를 복합제로 병합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먼저 에제티미브 약물은 어떤 제품들이 있으며 어떠한 작용으로 지질수치를 낮추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Ezetimibe(에제티미브) 1) 종류 -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경우 스타틴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타틴약물 없이 에제티미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에제티미브 단독제제는 거의 이지트롤(Ezetimibe 10mg)한가지 뿐이고 대부분은 복용편의성을 위해 스타틴과 복합제형태로 생산됩니다. - 에제티미브와 복합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스타틴계..

#2.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의 1차 치료제 - 스타틴(Statin)계 약물

최초의 스타틴계 약물은 1971년 일본 도쿄의 산쿄(Sankyo Co.)에 근무하던 엔도 아키라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그는 콜레스테롤이 미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곰팡이는 미생물을 죽이기 위하여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곰팡이유래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하에 실험을 수행하였고 2년간의 실험 끝에 진균 배지에서 스타틴의 원형이 되는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물질(Compactin이라고 명명)을 분리해내는데 성공하였습니다. 1979년 엔도와 제약사 Merk의 Alfred Albert에 의해 로바스타틴이 개발되었고, 이후 여러 회사를 통해 다양한 스타틴이 개발되었습니다. 스칸디나비아에서 시행된 스타틴을 이용한 첫 번째 대규모..

#1. 이상지질혈증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고지혈증 약의 종류

흔히 고지혈증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이상지질혈증은 간단히 말하자면 혈관 내 지질성분이 정상범위보다 증가된 상태를 뜻합니다. HDL 콜레스테롤처럼 수치가 높아야 좋은 지질성분도 있지만 LDL이나 중성지방 등 수치가 높아질수록 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질성분들의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해 고지혈증이라고 흔히 표현됩니다. 우리나라의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6년 3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40.5%에 육박하며 성별에 따라서 여성은 34.3%, 남성은 47.9%로 30세 이상 남성의 절반은 이상지질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지질혈증의 정의 이상지질혈증이란,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모두 포함하는 질환명으로 혈중에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