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약/코감기, 비염, 알러지 2

#2. 알러지성 비염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의 종류와 용법, 부작용 정리(지르텍, 클라리틴, 알레그라..)

2022.05.19 - [일반약/코감기, 비염, 알러지] -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비염의 정의와 분류 약국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는 바로 비염입니다. 비염의 정의는 코 내부의 지속적인 염증과 자극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여 콧물, 코막힘, 재채기 및 가 drugstudy-gongyak.tistory.com 콧물, 가려움, 재채기 등 알레르기성 비염의 대표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매개체는 바로 히스타민(Histamine)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표 증상들을 조절할 목적으로 히스타민의 작용을 방해하는 항히스타민제 약물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

#1. 알레르기 비염의 정의, 증상 및 진단기준과 알레르기 비염 약의 종류

비염의 정의와 분류 약국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는 바로 비염입니다. 비염의 정의는 코 내부의 지속적인 염증과 자극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하여 콧물, 코막힘, 재채기 및 가려움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비염은 급성 비염과 만성 비염으로 분류되는데 코감기는 급성비염에 속하고 알레르기성 비염은 만성 비염에 속합니다. 따라서 콧물 코막힘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알레르기성 비염인 것은 아닙니다. 1) 급성 비염(코감기, 감염성 비염) : 코감기는 주로 Rhinovirus, Corona virus, Adenovirus 등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낮은 온도나 습도, 스트레스 혹은 영양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맑은콧물, 코막힘과 두통,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