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약/당뇨

#2. 당뇨의 1차선택약제 - 메트포르민의 작용기전과 복용법, 주의사항

일상다약사 2021. 12. 29. 00:25
반응형

 

2021 대한 당뇨병학회 진료지침에 따르면 메트포르민은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2형 당뇨 환자들에게 가장 우선 사용되며 금기나 부작용이 없는 경우에는 복용을 유지하도록 하는 1차 선택 약제입니다. 가끔 메트포르민 약제를 복용 중인 분들이라도 메트포르민이라는 말이 낯선 분들이 계신데 이는 일반적으로 약을 제품명으로 접하기 때문입니다.

 

메트포르민 500mg 제품군

위에 나열한 제품들이 모두 국내 유통 중인 메트포르민염산염 500mg 제품들입니다. 즉, 모두 동일한 효능,효과를 지닌 동일한 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혹시 위 약들의 이름 중에 복용 중이신 제품이 있으시다면 이미 메트포르민 단일제제를 복용하고 계신 것입니다. 위에 나열된 품목에 없더라도 알약이 유달리 큰 당뇨약을 드시고 계신다면 메트포르민이 함유된 복합제제를 드시고 계실 확률이 높습니다.

 


메트포르민의 유래

 

메트포르민은 수세기동안 유럽에서 당뇨병에 사용되었던 Galega officinalis라는 식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이 약초의  유효성분인 구아니딘을 1920년대 메트포르민 형태로 합성하게 되었고 1950년대부터는 혈당강하를 나타내는 임상적 효능을 입증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60년 이상 널리 사용되며 효과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 충분히 입증된 약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Galega officinalis

 


메트포르민의 작용기전

 

메트포르민의 혈당강하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합성 저해

 

 우리 몸에는 항상성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항상성이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맞서 체내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으로 예를 들면 체온, 삼투압 그리고 혈당조절 등이 있습니다. 체온을 36.5도로 맞추기 위해 더운 여름에는 땀으로 열을 배출하고 추운 겨울에는 근육의 떨림을 이용해 열을 생산하는 것과 같이 혈당을 일정농도로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은 음식을 일정 시간 이상 섭취하지 않아도 당을 생성하여 혈당을 유지시킵니다. 공복이 지속되어 체내 혈당이 낮아졌을 때 젖산 등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생성하는 일을 하는 기관이 바로 간입니다.

 

근육에서 포도당을 사용하여 발생된 젖산을 간에서 포도당으로 신생합성하는 회로 - Cori Cycle

 

당뇨병 환자에서 아무것도 먹지 않았는데 혈당이 높게 나오는 경우, 즉 공복혈당이 높은 경우가 흔하게 관찰됩니다. 공복혈당이 높아지는 이유는 스트레스나 호르몬 이상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결국 그 원인은 간의 포도당 신생합성으로 생성된 당이 혈당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메트포르민이라는 성분은 바로 이 과정에 작용하여 혈당의 상승을 억제합니다.

더보기

※ 메트포르민의 당신생 억제 작용기전

 경구 흡수된 Metformin은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간세포 표면의 Oct1 수용체를 통해 간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미토콘드리아에 축적됩니다. 미토콘드리아에 축적된 Metformin은 전자전달 복합체 1을 저해하여 ATP 생성을 억제하고 AMP 농도를 상승시킵니다. 높아진 AMP 농도는 AMPK*라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당신생합성에 이용되는 효소들의 전사를 억제합니다. 결과적으로 간세포 내의 당신생 과정이 저해됩니다.
또한 AMPK는 미토콘드리아 내의 mGPDH**를 저해하여 세포 내 NADH의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피루브산으로부터 젖산을 생성하는 환원 반응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세포 내 젖산의 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 반응을 통해 메트포르민의 부작용인 젖산 혈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AMPK : AMP-activated protein kinase

**mGPDH : Mitochondrial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2. 말초 조직에서 포도당 흡수와 이용 증가 (인슐린 민감성의 상승)

 

메트포르민은 또한 말초 근육조직이나 지방조직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켜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합니다. 

우리 몸의 세포막에는 혈액 내 포도당을 이용하기 위해 GLUT*이라는 수송체가 존재합니다. 이 수송체는 여러 Subtype이 있는데 이중에 GLUT4는 지방조직과 근육조직에 주로 발현되어 있습니다. 세포막에 GLUT4 수송체의 개수가 많을수록 포도당이 세포 내로 더 잘 유입되고 이용될 수 있는데 이 수송체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이 바로 인슐린입니다. 따라서 혈액 내 인슐린의 농도가 높아지면 말초 조직 내 GLUT4의 발현이 증가하고 포도당의 세포 내 유입이 증가하여 혈당이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메트포르민은 인슐린과는 별개로 AMPK 효소의 활성화를 통해 GLUT4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작용을 다른 말로 인슐린 민감성을 높인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트포르민은 인슐린 분비를 직접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경구 혈당강하제와 달리 저혈당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LUT* : Glucose transporter

 

 

출처 : The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  22 Oct 2012 , 145(1): 258-65, Europe PMC

 

 


 

 

메트포르민의 장점

 

 

1. 단독 사용 시에도 당화혈색소(HbA1c) 감소 효과가 우수한 편입니다.

  - 혈당 기준으로 60~70 mg/dL, 당화혈색소 기준으로 1~2% 감소 효과 나타남

대조군과 메트포르민 복용군 간의 혈당과 당화혈색소 비교 논문

2. 저혈당 부작용이 거의 없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체중 증가 부작용이 없고 오히려 첫 복용 6개월 간 2~3kg가량 체중감소가 나타납니다.

 

4.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상지질혈증 개선효과로 심혈관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 존재

 

 


 

 

메트포르민의 부작용과 주의사항

 

1. 식욕감소, 구역/구토, 복통, 소화장애 등 위장장애

- 메트포르민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장애입니다. 약 30%에서 발생되므로 매우 빈번한 부작용인데요, 따라서 식후 복용이 권장되지만 이론적으로는 식전에 복용하여 음식물로 인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특별한 위장장애가 없다면 식사 직전이나 직후에 복용하는 것을 추천드리는 편입니다. 

 

 

 

2. 장기간 복용 시 B12 결핍 유발

 - 메트포르민을 장기간 복용 시 비타민 B12의 흡수장애가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B12는 체내에서 적혈구 성숙에 관여하여 빈혈을 방지하고 신경세포의 기능유지에 관여하는 중요한 비타민입니다. 결핍 시 빈혈 또는 신경통증이나 요통, 어깨 결림 , 수족냉증 등 말초신경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메트포르민을 복용하는 분들은 별도로 B12를 복용해 주는 것이 권장됩니다.

 

 

3. 조영제 사용 시 투여 중단

- 요오드를 포함한 조영제를 사용하는 CT 촬영 등이 예정된 메트포르민 복용 환자는 신장기능에 무리가 가거나 젖산 산증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영제 사용 전 24~48시간 전부터 메트포르민 복용 중단하며, 검사 48시간 이후부터 신기능 문제가 없다면 다시 복용합니다.

 

4. 젖산 혈증 부작용 발생

- 앞서 언급하였듯이 메트포르민은 간세포 내 젖산을 생성하는 환원 반응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세포 내 젖산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어 매우 드물게(10만명 중 10명 이내) 젖산 혈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젖산혈증 발생시 근육통, 피로감, 빠른 심박과 호흡을 보입니다. 이러한 증상 발생시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5. 중증의 신장/간장애, 저산소증, 심한 감염이나 패혈증 환자, 급성 및 불안정 심부전 환자에서 금기

 

 

 

 

 

 

 

https://link.coupa\ng.com/a/mkJCW

 

쏜리서치 베이직 B 컴플렉스 캡슐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설포닐우레아 계열의 경구 혈당강하제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